윈도우10 5

윈도우 10 시작 프로그램 관리 방법

처음에는 그렇지 않았는데 PC나 노트북을 사용하다보면 전점 부팅속도가 느려지는 것 같을때가 있다. 컴퓨터가 켜질때 자동으로 켜지는 "시작프로그램" 때문에 실제로 느려지기도 하는데 불필요한 시작프로그램을 꺼주기만 해도 큰 효과가 있다. 윈도우10 시작 프로그램 관리하는 방법 (사용, 사용안함 바꾸기) 1. 작업 관리자에서 관리하는 방법 - 작업표시줄에서 오른쪽 버튼 을 눌러 "작업 관리자"를 선택하거나 단축키(Ctrl + Shift + Esc) 로 작업관리자를 실행시킨다. - "작업관리자" 에서 "시작프로그램" 탭을 누르면 시작할 때 실행되는 프로그램 목록을 볼 수있다. -원하는 프로그램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"사용" / "사용안함" 을 설정할 수 있다. 2. 윈도우 설정에서 시작 프로그램 관리하..

IT/윈도우10 2021.08.23

윈도우10 : Microsoft Store 접속 안될 때 (오류코드 :0x80131500)

Microsoft Store (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) 접속 안될 때 해결방법 "다시 시도 페이지를 로드할 수 없습니다. 나중에 다시 시도해 보세요" 메시지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. 코드 :0x80131500" 대부분의 경우에는 간단하게 "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 를 초기화" 하는 것으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.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 초기화 하기 1. 윈도우에서 microsoft를 검색한 후 [앱 설정] 으로 들어간다. [Windows 설정 > 앱 > 앱 및 기능] 에서 Microsoft Strore 를 찾아 고급옵션으로 들어가도 된다. 2. Microsoft Store 에서 [초기화] 를 클릭한다. 참고로 '초기화'를 하면 스토어 설정 및 데이터 정보가 삭제된다. 3. Windows + R 키를 눌러 실행..

IT/윈도우10 2020.07.11

윈도우10 폴더나 파일에 빨간 X표시의 정체

윈도우10 에 폴더나 파일에 빨간색 동그라미 X 표시인 것이 있다. 상태 항목에 있는 초록체크, 아니면 빨간 X 가 있는 폴더에 표기되고 있는 것을 볼 수있다. 원인은? 이는 동기화와 관련되어서 사용되는 표시이다. 클라우드 서비스와 동기화 해서 사용하는 경우에 동기화실패가 되거나 용량이 부족할 때 주로 나타난다. 대부분의 클라우드 서비스가 작업표시줄에 상태를 표시하고 있기 때문에, 여기서 확인 할 수 있다. 대표적인 클라우드 마크인 구름모양에 X표가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해당 아이콘을 눌러보니 이번 경우는 바로 OneDrive 동기화가 되지 않아서 발생하는 문제였다. 상세내용을 살펴보니 OneDrive 동기화가 되고 있었고, OneDrive 에 사용공간이 부족했기 떄문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. ..

IT/윈도우10 2020.06.01

윈도우10 파일 확장자 보이게 하는 방법

탐색기에서 확장자를 보이게 하거나 숨기는 방법이다. 윈도우 10 이전에는 내컴퓨터의 속성에서 폴더 옵션에서 '확장명 숨기기' 를 통해 변경할 수 있었는데. 윈도우10 부터는 간단하게 변경이 가능하다. 탐색기 [보기] 메뉴에서 [파일 확장명] 체크박스를 체크해서 파일 확장자를 표시할 수 있다 ▼ [파일 확장명]을 체크하지 않은 경우 문서의 확장자가 보이지 않는다. [파일 확장명]을 체크하면 아래와 같이 확장자가 표시된다.

IT/윈도우10 2020.03.01

윈도우10 압축 프로그램 없이 압축하는 방법

윈도우를 설치하고 기본 적으로 설치하는 프로그램이 '알집' 같은 압축 프로그램이다. 윈도우10에서는 압축프로그램 없이 파일을 압축할 수 있다. ▼ 원하는 파일을 선택한 후 [마우스 우클리] > [보내기] > [압축(ZIP) 폴더] 를 선택하면 된다. ▼ 아래와 같이 압축 되었다. 파일 형식은 "압축(ZIP)폴더" 이며 확장자는 ".zip" 이다. ▼ 압축을 풀때는 마우스 우클릭 > [압축풀기] 를 선택하면 된다. 윈도우10에 있는 기본기능으로 압축이 가능하며 압축 패스워드 입력등의 기능은 제공하지 않는다. .zip 확장자만 가능하다.

IT/윈도우10 2020.01.20